반응형
포악상어 종류 및 특성 (해수욕장 상어 피해예방 및 대처요령)
포악상어 종류 및 특징


유엔식량농업기구(FAO)는 전세계 400여종의 상어 중 27종을 포악상어로 분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7~10여종의 포악상어가 출몰하고 있습니다. 그중 인명 피해를 일으키는 상어로는 주로 백상아리, 청상아리로 알려져있습니다.
상어는 성질이 난폭하고 체장은 2~8m의 데형어종으로 최고속력은 40~55km/h으로 빠릅니다. 대게 동틀녁과 해진 뒤에 먹이 활동을 합니다. 배가 고프거나 당황하거나 또는 영역을 지키려고 공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- 청 각 : 매우 탁월하여 1㎞ 이상 떨어진 곳의 소리까지 감지 - 후 각 : 수백 m 앞의 냄새를 분간하고 백만분의 1로 희석한 피 냄새까지도 감지 - 시 각 : 15m 이내의 거리에서는 눈으로 먹이를 확인하여 공격 - 측 선 : 머리와 옆구리에 있는 감지기관(움직임, 진동 감지), 물이 탁해서 앞이 잘 보이지 않을 때는 측선을 이용 - 로렌치니 : 주둥이 부분의 수많은 구멍들로 생물의 미약한 전류를 감지, 바닥에 숨어 있는 먹이를 찾는데 이용(전기 감각 기관) |

최근 동해안에서 공격성이 강한 상어가 잇달아 출몰하면서 피서철을 맞은 관광지 및 해수욕장 안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.
국내에선 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상어의 공격으로 6명이 사망하고 1명이 중상을 입었다. 대부분 해녀와 잠수부가 피해를 입었는데 피서객 사망 사고도 1차례 있었습니다.
상어 피해예방 및 대처요령
⦁ 상어들이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는 늦은 저녁부터 새벽까지는 어업 활동이나 물놀이 금지 ⦁ 몸에 상처를 입은 상태에서는 바다에 들어가지 않아야 됨(피 냄새는 상어 유인) ⦁ 작업 시 긴 띠를 준비하였다가 상어를 만나면 이를 풀어 상어보다 몸을 크게 위장 ⦁ 고기가 큰 떼를 짓기 시작할 때에는 작업이나 잠수 금지 ⦁ 매우 밝은 수영복이나 피부와 대비되는 수영복 착용 금지 ⦁ 물 속에 들어갈 때에는 서로 약속된 신호를 만들어 사용, 2인 이상 짝을 지어 행동 ⦁ 상어를 만났을 때에는 놀라서 고함을 지르거나 기타 자극적인 행동 금지 ⦁ 상어를 손으로 잡거나 작살로 찌르는 행위 등 자극 금지 ⦁ 상어의 공격을 받을 경우 상어의 민감한 부분인 눈이나 코를 힘껏 내려쳐 공격 |
상어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어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늦은 저녁부터 새벽까지는 물놀이나 조업을 금지하고 피냄새는 상어를 유인하는 만큼 몸에 상처가 있을때는 바다에 들어가지 않으시길 바랍니다.
반응형
'유용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드시 알아야 할 여름철 물놀이 안전수칙 (0) | 2023.07.17 |
---|---|
농업경영체 등록조건 및 농업경영체 등록확인서 발급 (0) | 2023.07.14 |
여름철 독성 해파리 종류 및 해파리 쏘임 응급대처법 (0) | 2023.07.12 |
만 나이 통일법 시행 청소년 보호법 상 청소년 연령 (0) | 2023.07.10 |
포항시 1단계 상병수당 시범사업 연장 시행 (신청대상, 신청절차) (0) | 2023.07.09 |